'User Experience/Mobile UX'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4.05.15 3 Worst Things That Could Happen

3 Worst Things That Could Happen



<https://fbcdn-sphotos-g-a.akamaihd.net/hphotos-ak-ash3/t1.0-
9/1795747_642031435866564_2646592677685080734_n.jpg>



 위 사진은 iOS를 사용하면서 우리가 경험하는 3가지의 안 좋은 예들을 표현한 이미지입니다. 왼쪽부터 Wifi, Activity Status, Battery 등의 정보를 표현하는 인디케이터로 사용합니다. 


 이 3가지 인디케이터들은 네트워크, 데이터 연산/처리, 배터리 등 각각 모바일 디바이스의 중요 성능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표현해 주는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Wifi 인디케이터는 와이파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해서 그 값에 따라 표시하는데 간혹 동영상 등을 와이파이 신호 상태가 약한 장소에서 보다보면 LTE 등으로 자동 전환되어 데이터 요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데이터가 많이 발생하는 콘텐츠를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 환경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우리가 흔히 스피너라고 불리우는 액티비티 인디케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또는 파일)를 내려 받거나 특정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화면에 표시됩니다. 이 인디케이터가 나타난 채로 반응이 없으면 사용자는 점점 답답해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겠지요. iOS가 제공하는 인디케이터는 한 종류이지만 탈옥폰의 경우 개발자들이 커스텀해서 변경된 애니메이션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경우 좌측과 같이 표시된다면 현재 배터리의 양이 극도로 적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바로 충전을 해주어야 하며 최소 30분 정도는 충전을 지속해야합니다. 우측과 같은 화면 상태라면 충전을 시작한 뒤 10분 정도 지나야 아이폰의 전원이 켜지며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배터리를 오래 사용하는 5가지 방법!


1) 화면 밝기를 50% 정도로 설정하기
- 스마트 폰에서 가장 큰 단일 부품은 스크린 화면입니다. 점차 대화면으로 커지는 추세에서 화면 밝기를 낮춰주시면 배터리를 더욱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2) LTE/3G 보다는 와이파이 사용하기, 블루투스 끄기

- LTE/3G 환경보다 와이파이 상태에서 배터리 소모량이 적습니다. 따라서 접속 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와이파이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 블루투스, 테더링 등의 설정을 해제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사용하지 않는 앱 종료

- 스마트 디바이스는 멀티태스킹을 지원하여 우리가 직접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백그라운드에서 다양한 앱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습니다. 따라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앱은 직접 종료해주시고, 설정 등의 항목에서도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들이 있다면 해제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4) 배터리 잔량 40~80% 유지

- 최근의 스마트 폰 배터리는 리튬 폴리머 전지를 많이 사용하는데, 무조건 100%로 충전하고 다니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완전 충전 후 장시간 충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또한 자주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것 역시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됩니다. 하지만 한달에 한 번 정도는 배터리를 완전 방전될 때 까지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오래된 물이 썪는 것을 연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배터리 내부에는 충전회수와 충전량을 체크하는 회로들이 있기 때문에 가끔 완전 방전시키는 것이 리셋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5) OS 업그레이드는 신중하게

- 새로운 OS가 업데이트 되면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 동안 불안정안 버그나 동작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안정한 요소로 인해 배터리 소모가 급격하게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업데이트는 충분히 리뷰들을 살펴 보신 후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Posted by jantak
이전버튼 1 이전버튼